服务承诺
资金托管
原创保证
实力保障
24小时客服
使命必达
51Due提供Essay,Paper,Report,Assignment等学科作业的代写与辅导,同时涵盖Personal Statement,转学申请等留学文书代写。
51Due将让你达成学业目标
51Due将让你达成学业目标
51Due将让你达成学业目标
51Due将让你达成学业目标私人订制你的未来职场 世界名企,高端行业岗位等 在新的起点上实现更高水平的发展
积累工作经验
多元化文化交流
专业实操技能
建立人际资源圈Fight_Club
2013-11-13 来源: 类别: 更多范文
Sulim Ji
Professor Jett
English B1A
28 January 2013
Unleashed Superego
Tyler Durden, the other main character of the novel, turns out to be the Narrator’s projected alter ego. In Terry Lee’s article, “Virtual Violence in Fight Club: This Is What Transformation of Masculine Ego Feels Like,” he explains that the ego which is the personality that we identify as our self, and the unconscious, which is the dark, unknown aspect , are the large, constitutive parts of the psyche (420). Lee writes, “Jack and Tyler are clearly the same person, with Tyler acting out the doppelganger role to Jack: Tyler is an external manifestation of a character in a drama occurring within Jack’s psyche” (420). In both Chuck Palahniuk’s novel Fight Club and David Fincher’s film version, the Narrator and Tyler are actually the same person and the Narrator expresses his suppressed desires and instincts unconsciously through his alter ego Tyler.
After the Narrator’s condominium is blown up, he meets Tyler at a bar. Outside the bar Tyler say, “I want you to hit me as hard as you can” (Palahniuk 125). They engage in a messy fight and this is the germination of fight club. In Olivia Burgess’s article, “Revolutionary Bodies in Chuck Palahniuk’s Fight club”, she explains, “Fight club allows men to fiercely embody revolution and desire and rejuvenate utopia with every punch.” (263). Fight club attracts the attention of many other men because they can express their controlled and suppressed masculinity by fighting someone. In the early book, the Narrator states, “The people I know who used to sit in the bathroom with pornography, now they sit in the bathroom with their IKEA furniture catalogue” (Palahniuk 43). However, he turns into a tough fighter not a calm person who enjoys buying household goods. He is no longer concerned with his job or obsessing over his physical appearance. Fight club which is Tyler’s creation provides him with the means to look into himself and helps him lose fear about something in his life. Through his self-destruction, he can feel who he is and he is man enough. By creating fight club, Tyler educes the Narrator’s hidden masculinity and makes the Narrator works off his frustration.
The Narrator satisfies not only a desire of masculinity but also a desire of sexual by his alter ego Tyler. Both in the book and the film, Tyler shows promiscuous behaviour sexually. In the film, the Narrator and Tyler say, “If you look, you can see little dots come into the upper right corner of the screen. In the industry, we call them cigarette burns. He flips the projectors, movie keeps going and the audience has no idea because it affords him interesting opportunities like splicing a frame of pornography into family films” (Fincher). A fine gentleman at his office splices frames of pornographic films and inserts the flesh of an erection into the reels of family films. The subliminal insertion of an erection indicates the Narrator’s deep sexual desire. Also, Tyler enjoys having sex with Marla regularly. The Narrator is jealous of their relationship but he never has sex with her. According to Burgess, “It is only at the very end that he realizes that his true desire all along was for Marla” (277). However, when the Narrator tells Tyler that Marla Singer doesn’t need a lover, she needs a case worker, Tyler says, “Don’t call this love” (Palahniuk 62). While the Narrator considers Marla as true love, Tyler considers her as a sexual object. The Narrator expresses his strong sexual drive through bad man Tyler. Tyler is the medium that satisfies the Narrator’s promiscuous sexual desire that most people have.
The Narrator meets his emotional and sexual desires by making his alter ego Tyler. He reveals his hidden masculinity and loveless sexual desire drastically. However, Tyler makes the world confused and causes a commotion. Finally, the Narrator who loses his superego tries to destroy Tyler to return that control t himself. People have desires that they cannot satisfy. They may be struggling with their alter egos who try to satisfy all the time.
Works Cited
Burgess, Olivia. “Revolutionary Bodies in Chuck Palahniuk’s Fight Club.” Utopian Studies
23.1 (2012): 263-80. Academic Search Premier. Web. 25 Jan. 2013.
Fight Club. Dir. David Fincher. Perf. Brad Pitt and Edward Norton. 1999. Twentieth Century Fox, 2002. DVD.
Lee, Terry. “Virtual Violence in Fight Club: This Is What Transformation of Masculine Ego
Feels Like.” Journal of American & Comparative Cultures 25.3/4 (2002): 418-23.
Academic Search Premier. Web. 22 Jan. 2013.
Palahniuk, Chuck. Fight Club. New York: Norton, 2005. Print.
책과 영화는 네레이터의 또다른 자아를 만듦으로써 감정적이고 성적인 자신의 또다른 욕구를 해소하는 매개체를 사용 (마지막단락) 타일러는 파잇클럽을 만들어 네레이터의 남성성을 표출하게하고 또한 말라와 섹스를 가지며 성적인 욕구를 사랑이 아닌 표출한다. 결국 또다른자아 타일러는 네레이터의 욕구를 해소해주는 대신 세상을 파멸로 이르게 한다. 네레이터는 결국 또다른 자신의 자아를 외면하려하고 그 자아를 없앤다.
누구나 해소하지못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그 욕구를 해소하려는 또다른 우리자신과 싸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초자아를 잃어버린 네레이터는 또다른 자아 타일러를 찾게되지만, 타일러가 또다른 자신임을 깨닫고는 그를 외면한다. 우리 모두 해소하지못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따. 우리또한 네레이터와 같이 우리안에 타일러와 싸우고 있는지도 모른다. 항상.
자기멋대로 행동하고 하고싶은말 ~~ 다하는 그는 네레이터의 또 다른 자아 이드 이다. 책과 영화는 네레이터의 또다른 자아를 만듦으로써 감정적이고 성적인 자신의 또다른 욕구를 해소하는 매개체를 사용
영화 속의 타일러라는 인물은 이드를 상징한다. 꼴리는 대로 행동하는 그. 타일러의 추진력과 틀에 박히지 않은 생각들은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산다. 초자아에 억눌리고 자아에게 저지당하던 사람들의 숨겨진 본능을 타일러가 이끌어주었기 때문이다. 이드에 휘둘리는 것은 잘못이 아니라고 궤변 같은 달변을 들어놓은 그에게 모두가 매료당한다. 그렇게 만들어진 이드의 집합체가 바로 fight club. 파잇클럽은 많은 사람들의 본능의 배설구가 되어준다. 파잇 클럽이 전세계적으로 호응을 얻고 많은 회원 수를 유지할 수 있었던 모습은 인간이 본능에 얼마나 목말라 있는지를 보여준다. 초아자가 지배하는 사회의 눈을 피해 아무도 모르게 은밀히 본능을 표출하는 모임이 있다는 것은 가히 매력적이지 않을 수 없다. 그만큼 사람들이 사회에 억눌려 자신의 본능을 감추고 산다는 것이 된다. 나중에 악질 범죄단으로 바뀌어 문제가 되긴 하지만 그 전까지 나는 파이클럽이 꽤 괜찮은 모임이라고 생각했다. 무작정 억눌려 사는 것보다는 스트레스를 풀 듯 서로를 때리며 욕구를 배출하는 것은 오히려 한 사람의 정신 건강에는 도움이 되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때리면 때릴수록 이드에게 많은 정신에너지가 사용되게 하는 것이고, 그것은 이드가 정신을 지배하게 만드는 원인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가지 반전은 파잇 클럽에도 규칙이라는 것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파잇클럽에서는 상대방이 괴로워하거나 그만하기를 원한다면 싸움을 중지한다. 즉, 자신이 즐길 수 있을 때까지만, 감당할 수 있는 고통까지만 허용한다는 것이다. 이드에 따르는 크럽이라면 규칙 따위는 무시해 버리는 게 맞지 않나 하는 의문이 들었지만 이내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드는 본능에 충실한다. 그 본중 중에는 생존, 신체에 대한 보호도 포함되어 있다. 생존이 전제되어야 본능도 표출할 수 있는 범. 그렇기에 파잇 클럽은 철저하게 서로를 보호하는 규칙을 만든 것이다.
주인공은 타일러와 다르게 침착하고 현실적이다. 여기서 헷갈리는 부분은 주인공이 자아인가 초자아인가 하는 부분이었다. 하지만 주인공이 초자아였다면 파잇클럽을 함께 하지 않았을 것이고, 같이 범죄를 저지르지 못했을 것이다. 초자아는 양심을 거스르는 일은 조금도 허용하지 않는 명령적인 존재이기 때문이다. 정리해보면 주인공은 타일러라는 이드에게 흔들리는 자아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타일러가 너무 정신적 에너지를 많이 가져갔기에 주인공의 초자아는 거의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한다. 그나마 그의 초자아를 불러일으켜 주는 것은 친구 밥의 죽음이다. 타일러가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아니 이드에 대한 반항심이 점차 커지면서 이드의 에너지가 점점 자아로 돌아가고 있던중, 밥의 죽음은 주인공이 정신을 차리게 되는 계기가 된다 주인공에게 돌아온 정신적 에너지는 말라에 대한 사랑마저 깨닫게 해준다. 그리고 말라는 지켜야 한다는 책임감은 자아와 초자아에게 더 많은 에너지를 실어준다. 자기 자신에게 총이라는 엄청난 자극을 주고 나서야 이드의 지배에서 해방된 주인공의 모습은 왜 이드 자아 초자아의 조화가 중요한 것인지를 보여준다. 자아가 흔들리면 그 틈새로 이드가 언제 타일러 같은 멋진 모습으로 유혹할지 모르는 일앋.

